삶의 단상191 좋은 글을 쓰려면 I 얼마 전 제자 한 사람이 내게 “어떻게 하면 좋은 글을 쓸 수 있습니까?”라고 진지하게 물었다. 나는 “그거야, 글 쓰는 사람 모두의 고민이지, 내가 누군가에게 묻고 싶은 것을 지금 자네가 내게 묻고 있네” 라며 대답을 피했다. 그랬더니 그 친구가, “그래도 선생님은 이 문제로 저보다 오래 고민하셨을 터이니, 경험담이라도 얘기해 주세요”라며 때를 썼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답했다. II. 첫째 절실해야 좋은 글이 나온다. 내 경험으로는 정말 쓰고 싶을 때 좋은 글이 나온다. 별로 내키지 않는데 청탁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글을 쓰거나, 써도 되고 안 써도 되는 경우, 좀처럼 좋은 글이 나오지 않는다. 나는 꼭 쓰고 싶은 주제를 만나면, 가슴이 뛰고 온 몸에 전율은 느낀다. 그러면서 자신을 던지고 싶어진.. 2013. 9. 29. 아침햇살 I. 얼마 전 한 지인이 내게 시골에서 살면서 자연이 주는 혜택 중에 무엇이 가장 좋으냐고 물었다. 나는 곧바로 ‘햇살’이라고 대답했다. 상대방은 조금 의외라는 듯, “햇살이라니, 한 여름 땡볕이 좋다는 말인가”라고 물었다. 나는 “이곳 햇살은 도시의 햇볕과 달라. 투명하고 신비해. 제일 좋기는 아침햇살이지,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거든”했다. II. 여기서는 사계절 내내 햇살을 느끼며 산다. 때로는 강렬하고 때로는 미약하지만 대기가 깨끗한 탓에 아무런 여과 없이 위에서 내려 쬐는 햇살은 언제나 맑고, 신선하다. 우리 집 거실 천정이 유리창인 이른바 천창(天窓)인데, 이를 통해 들어오는 밝고 신비한 햇살은 마치 하늘에서 내려오는 은총이나 축복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한 겨울에도 햇살이 거실 깊숙이 찾아와 암.. 2013. 8. 31. 무엇이 좋은 질문인가 I. 1964년 서독의 게르스텐마이어(Eugen Gerstenmaier, 1906-1986) 하원의장이 한국을 방문해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게르스텐마이어는 신학자로 히틀러에 항거하여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했던 서독의 존경받는 정치인이었다. 의례적인 질의응답이 오갔는데, 갓 대학을 졸업한 듯 앳된 얼굴의 의 L 기자가 유창한 독일어로 그에게 질문을 던졌다. “의장님께서 한독 간의 특별한 관계를 말씀하시며 특히 양국 간의 긴밀한 문화교류의 필요성을 강조하셨는데, 서독이 국제 문화협력을 위해 세계 곳곳에 세우고 있는 괴테-인스티튜트(독일문화원)가 아직 한국에는 없다는 점은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게르스텐마이어 의장은 꽤나 난처한 낯빛으로 깊은 유감을 피력했다. 그리고 가능한 한 빠른 기간 내에 독일문화원을.. 2013. 7. 31. 농사 여담(餘談) I. 지난 겨울은 무척 길고 혹독했다. 그 바람에 그간 몇 년간 애써 키웠던 여러 그루의 나무를 잃었다. 집 앞의 5년생 앵두나무는 이제 제법 큰 나무로 자라 작년에는 제법 풍성한 수확도 거뒀는데 두 번 태풍에 밑동이 크게 흔들리더니 끝내 긴 겨울을 견뎌내지 못했다, 재작년 가을 양양 5일장에서 사온 3년생 감나무 두 그루도 끝내 모진 겨울을 건너뛰지 못했다. 나무마다 다 나름대로 사연이 있다. 그래서 멀쩡하던 나무가 병들거나 죽으면, 그와의 첫 인연까지 복기(復棋)되어 안타깝기 그지없다. 그런 가운데 지난 겨우 내내 내 마음을 가장 조리 게 했던 것은, 작년 초 지리산 600m 고지에서 블루베리 농장을 하는 제자 Y군이 내게 보내 온 100 그루의 묘목이었다. 말이 묘목이지 크기가 손가락만한 가녀린 어.. 2013. 6. 28. 50세부터는 인격이 좌우한다 I. 나는 제자들에게 자주 인품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그러면서 아무리 실력이 출중하고 재주가 뛰어난 사람도 인격이나 사람 됨됨이가 적정 수준에 미치지 못하면 그에게 큰일을 맡기기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다. 젊었을 때는 남보다 능력이나 재주가 월등하면 주위의 부러움을 사고 윗사람의 총애를 받게 된다. 그래서 남보다 빨리 승진하거나 중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조직의 계층제에서 일정 단계를 넘게 되면, 사람에 대한 평가 기준이 달라진다. 당사자의 업무능력이나 기능적 우수성 보다 그 사람의 인품과 신뢰성의 비중이 부쩍 높아지게 마련이다. 정부 관료제의 국장급 이상, 대기업의 임원, 혹은 다양한 조직의 핵심적 직책처럼 높은 수준의 공적 책임과 헌신을 요구하는 자리들의 경우, 별 예외 없이 그러하다. 그래서 .. 2013. 6. 7. 염력(念力) I. 진정성이 깃들인 말 한 마디가 잔잔한 감동을 자아내는 경우가 많다. 요즈음 나는 지인들로부터 아래와 같은 얘기를 들을 때 그런 느낌을 갖는다. "T.V로 일기예보를 시청할 때면, 안 교수 생각을 자주 하게 되네. T.V 화면에 딱히 속초/고성 지역 예보는 나오지 않지만 강릉 일기는 나오지. 강릉 조금 위이니 대충 일기가 비슷할 게 아닐까. 서울보다 추운지, 더운지, 눈이 오는지, 비가 오는지. 그러면서 저 친구 지금 무얼 할까 상상해 보지.“ “미시령이 눈으로 막혔다거나 그곳에 폭설이 온다면 괜히 걱정이 되지. 안 교수 집이 또 고립되겠구나 싶어서.” 이런 얘기를 들으면, 고마운 생각에 가슴이 뭉클하다. 멀리 떨어져 있어도 지인들이 이처럼 나와 교감하며 내 생각을 해 주는 구나. 그들이 무언중에 나.. 2013. 5. 22. 홈커밍(homecoming) I. 연세대학교 졸업생들은 졸업 후 25년과 50년이 되는 해 5월(개교 기념일)에 모교를 찾아 옛 친구들과 은사들을 다시 만나는 이른바 재상봉(홈커밍) 행사를 갖는다. 5월의 신록처럼 한창 푸른 나이에 학교를 떠났다가 머리가 희끗 희끗한 50 문턱의 장년으로, 또 거기에 25주년을 보태 70대 중반 가까이 노년에 이르러 모교를 다시 찾는 것이니, 감회가 남다를 수밖에 없다. 나는 1988년에 25주년 홈 커밍을 했다. 서울 올림픽이 열렸던 해이다. 그게 실로 어제 같은 데, 세월이 유수처럼 흘러 다음 주 토요일(5월 11일) 50주년 행사를 앞두고 있다. 25주년 때, 저편에 앉았던 50주년 선배들의 모습은 아직도 눈에 선하다. 우선 그 분들이 수 십 명에 불과해서 그 자리가 무척 허전해 보였다. 하나.. 2013. 5. 2.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