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단상

그날, 스톡홀름 거리에서

2021. 4. 28. by 현강

I.

1994년 7월 중순 한여름 오후, 나는 스웨덴의 스톡홀름의 거리를 거닐고 있었다. 스톡홀름 대학의 한 교수와 약속시간에 여유가 생겨 한가한 마음으로 거리 산책에 나섰던 길이다. 그런데 멀리서 내 쪽으로 다가오는 모자(母子)의 모습이 보였다. 중년의 서양 여성이 대여섯 살 쯤 되어 보이는 남자 아이의 손을 잡고 걸어오는데, 멀리서 보아도 그 애가 영락없는 한국 아이였다. 순간 나는 그 애가 스웨덴에 입양된 한국 아이라고 직감했다.

 

그들은 미쳐 나를 보지 못한 가운데, 아이가 엄마에게 종알종알 즐겁게 얘기를 건네며 내게 가까이 오고 있었다. 그러다가 그들과 나의 간격이 한 열 발쯤 가까워졌을 때 모자가 동시에 나를 보고 흠찟 놀라는 기색을 보였다. 나는 그들에게 조용히 미소를 보냈다. 그러자 아이는 잠시 발걸음을 멈춘 채 동그래진 눈으로 나를 뚫어지게 쳐다보았고, 엄마는 자못 긴장한 낯빛으로 내게 얼마간 경계의 눈초리를 보냈다. 나는 착잡한 심경으로 미소를 거두었다. 잠시 후, 서로가 엇갈리는 지점에 이르자, 그 서양 엄마는 내 눈빛을 애써 피하며 꼬마의 손목을 바짝 잡아채고 걸음을 재촉했다. 한시 라로 빨리 이 상황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이 역력했다.

 

곧 서로 지나쳤다. 그리고 몇 걸음을 옮긴 뒤, 나는 하도 궁금해서 뒤를 돌아보았다. 그런데 놀랍게도 아이는 걸음을 한껏 늦추며, 아예 고개를 뒤로 재치고 나를 뚫어져라 주시하고 있었고, 당황한 엄마는 얼마간 신경질적으로 아이를 가는 방향으로 계속 잡아당기고 있었다. 한마디로 아이가 엄마에 질질 끌려가는 형국이었다. 곤혹한 심경으로 나는 급히 고개를 앞으로 돌렸다.

한참 뒤에 나는 다시 뒤를 돌아보았다. 그런데 제법 양측의 거리가 멀어진 그때 까지도 아이는 여전히 나를 연신 뒤돌아보며 엄마에게 끌려가고 있었다.

 

무엇이 그 어린 아이를 그렇게 행동하게 만들었을까? 핏줄이 당겼나? 비슷한 모습의 미지의 인물에 대한 호기심인가? 무거운 발걸음을 옮기며 나는 예민한 감성의 그 아이가 얼마 후 청소년기 질풍노도 시대에 겪게 될 정체성의 혼란이 미리 우려되어 가슴 저미는 아픔을 느꼈다.

 

II.

세계 제 2차 대전 이후, 전 세계에 입양된 아동의 수는 약 50만 명이다. 그 중 약 40%인 20만 명이 한국의 입양인이다. 가히 ‘입양아 수출국’이라는 오명을 벗어나기 어려운 형편이다. 그 중, 유럽으로 건너간 입양아가 6만을 넘고, 그 절반가량이 북유럽, 즉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3개국에 살고 있다. ‘수잔 브링크’의 나라 스웨덴의 한인 입양인도 약 1만 1000명이나 된다.

 

‘수잔 브링크의 아리랑’은 1991년에 개봉된 고 최진실 주연의 한국 영화로, 실존 하는 한 스웨덴 입양아의 방황을 그린 영화다. 내용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수잔의 한국인 어머니는 생활고에 못 이겨, 네 살짜리 딸 신유숙을 눈물 속에 스웨덴으로 입양시킨다. 그 때 어머니는 딸 유숙에게 준 선물은 한복을 입은 작은 인형이었다. 스웨덴에서의 유숙의 앞날은 험난했고, 고통스러웠다. 낯선 환경과 생김새가 다른 사람들 틈에서 느끼는 소외감, 가족에 대한 그리움, 그리고 무엇보다 새 엄마의 모진 학대 속에 13살 때 첫 번째 자살을 기도한다. 18세에 자립을 하게 된 유숙은 친모를 찾아 나섰지만 실패하고, 방황 속에 혼전임신과 실연 등 고통으로 점철된 나날을 보내다가, 한 스웨덴 선교사의 도움으로 친모가 살아있다는 소식을 접한다. 딸과 함께 한국으로 돌아 온 유숙은 그토록 그리웠던 친어머니와 해후를 하고 기나긴 방황을 끝낸다.

20만 한국출생 국제입양아의 입양 이후의 삶은 각지 각색일 것이다. 개 중에는 착한 양부모의 헌신적 사랑과 배려 속에 행복한 삶의 기틀을 마련한 이들이 적지 않다. 놀랍게도 그간 프랑스에서만 두 명의 입양아 출신 장관이 탄생했다. 플레르 펠르랭(한국명 김종숙) 문화 컴뮤니케이션 장관과 장뱅상 플라세(한국명 권오복) 국가개혁 장관이 바로 그들이다. 그런가 하면, 양부모의 학대, 낮선 환경에 대한 부적응, 사회적 소외감 속에서 잘못된 길로 접어 든 이들도 무수히 많다. 어떤 경우이든, 입양아 대부분은 청소년기에 극도의 정체성혼란을 겪으며 힘겹게 인생의 고비를 넘긴다. 위에서 언급한 스잔 브링크가 친어머니를 만난 후, 국제입양을 반대하는 민권운동에 앞장 선 것도 자신의 불행했던 과거의 어두운 그림자 때문일 것이다.

 

국제입양을 통해 새 자식을 품에 안은 양 부모들의 행태도 여러 갈래다. 적지 않은 부모들이 열린 마음으로 아이에게 모든 사실을 있는 그대로 알리면서, 한국과의 태생적 인연을 소중하게 가꾸도록 세심하게 이끈다. 그런가 하면, 어떤 이들은 입양아가 한국과의 관계를 완전히 단절하고 새 둥지에서 다시 출발할 것을 기대하며, 한국과의 흔적을 애써 지우기도 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전자의 경우가 입양아들의 정체성 혼란을 줄이고 자연스런 정서적 성장을 유도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나는 그날, 스웨덴 거리에서 조우한 서양 엄마가 처음 내가 보냈던 미소에 대해 따스한 눈빛으로 화답했다면, 다가가 몇 마디 인사라고 나누고 아이의 손이라도 잡아 볼 참이었다. 그런데 그녀가 나와 아이의 접촉을 크게 꺼리는 눈치여서 그럴 엄두도 내지 못했다. 어쩌면, 그 서양 엄마의 반응은 그녀의 깊은 속내의 표현이라기보다, 전혀 마음이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당황한 가운데 빚어진 촌극일 수 있다. 여하튼, 그날 오래도록 나에게서 눈을 띠지 못했던 그 아이의 집착과 서양 엄마의 차가운 반응은 모두 내게 깊은 인상과 충격을 남겼다.

 

III.

그 날, 나는 혼란스러운 심경으로 스톡홀름 도심의 호텔로 돌아와 막 잠자리에 들려고 하는데, 밖에서 소란스러운 구호와 힘찬 때창 소리가 들렸다. 나는 놀라서 창문을 열어 보니 수많은 젊은이들이 운집하여 깃발을 흔들며 열렬히 환호성을 토해내고 있었다. 놀라 프론트에 알아보니, 그날(7월 16일) 방금 전, 스웨덴이 미국 페서디나에서 열린 월드컵 준결승전에서 불가리아를 4:0으로 대파해서 흥분한 시민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온 것이었다. 그 말을 듣고, 나는 이제 군중들의 숫자가 계속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분위기는 광란에 가깝게 고조될 터이니, 제대로 잠자기는 다 틀렸다고 지레 짐작했다. 그런데 웬걸, 한 시간쯤 지나자 창밖에 소요는 점점 잦아들더니, 두 시간이 가까워지자 거리는 언제 무슨 일이 있었느냐는 듯, 다시 한 밤의 고요를 되찾았다. 아니 이럴 수가!

 

그날 밤, 나는 스웨덴인의 절제와 지나칠 정도의 이성적인 집단행동에 크게 놀랐다. 주지하듯이 영국이나 독일 등 유럽 여러 나라의 축구 열기, 특히 월드컵의 열풍은 가히 전설적이라 범인의 상상을 초월한다. 그런데 축구 강국의 하나인 스웨덴이 1958년 자국에서 개최된 제 6회 월드컵에서 준우승을 한 후 실로 36년 만에 처음으로 3위에 올랐는데, 아무리 한밤중이라도 이 정도의 조촐한(?) 축제로 끝냈다니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었다.

 

스웨덴인은 남부 유럽은 물론, 중부 유럽세계에 비해, 감성보다 이성의 몫이 크게 작용하는 사람들이다. 같은 맥락에서 이 나라는 열광적 애국주의의 정도가 전세계에서 가장 낮은 나라로 알려져 있다.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우리가 4강에 올랐을 때, 전국을 휩쓸었던 환희와 열락의 물결과 비교해 보면, 그들의 지나칠 정도의 쿨한 성격은 가히 짐작이 가고 남을 것이다. 그 차디찬 이성이 수잔 부링크를 더 외롭게 만들었는지 모른다. 

 

IV.

그날 밤, 나는 스톡홀름 거리에서 나를 뚫어지게 처다보던 그 어린 입양아의 놀란 눈망울이 계속 눈에 밟혀 잠을 크게 설쳤다. 우리와는 문화적 유전자가 다른 낮선 땅에서 그 어린 것이 어떻게 세상을 헤쳐 나갈지 걱정이 밀물처럼 계속 밀어 닥쳤다.

이제 그 아이도 30대 초반의 헌칠한 청년이 되었을 것이다.

 

부디, 부디 행복하기를 빈다.

댓글